티스토리 뷰

서론

20세기 미국 음악사에서 Samuel Barber(1910–1981)는 인간의 내면적 서정과 시대적 감각을 탁월하게 포착한 작곡가로 기억된다. 그의 <Knoxville: Summer of 1915>는 단순한 가곡이 아니라, 어린 시절의 기억과 시골 공동체에 대한 노스탤지어를 음악적으로 승화시킨 작품이다. 특히, 이 곡은 1910년대 미국 시골의 정서와 삶의 결을 담아내며, 전문 성악가에게도 고도의 음악성과 섬세한 테크닉을 요구한다.

 

 

Samuel Barber 가곡&lt;Knoxville : Summer of 1915&gt;
사무엘 바버

1

1910년대 미국 시골의 정서와 그리움의 회상

 

<Knoxville: Summer of 1915>는 Barber가 James Agee(1909–1955)의 산문시를 바탕으로 1947년에 작곡한 곡이다. Agee의 글은 1910년대 초 테네시주의 녹스빌에서 보낸 어린 시절의 여름 밤을 서정적으로 묘사한다. Barber 역시 어린 시절의 추억을 떠올리며 이 텍스트에 깊이 공감했고, 이를 음악으로 옮겼다. 이 작품에서 1910년대 시골 미국의 정서가 다음과 같은 이미지로 살아난다.

“We are talking now of summer evenings in Knoxville Tennessee when I was a boy... It has become the time of evening when people sit on their porches, rocking gently and talking gently...”

 

여기서 “people sit on their porches”라는 구절은 시골의 공동체적 삶과 여유로운 일상을 상징한다. 앞마당의 포치(porch)는 1910년대 미국 남부에서 이웃과 담소를 나누던 생활공간으로, 도시화 이전의 느릿한 삶의 리듬을 상기시킨다. 이러한 공간적 감각은 청자에게도 잔잔한 그리움과 안온한 평화를 불러일으킨다. Barber는 이러한 정서를 음악적으로도 잘 표현했다. 현악과 목관의 따스한 울림은 여름 밤의 후끈한 공기와 벌레 소리까지 암시하며, 성악 파트는 마치 어린아이의 내적 독백처럼 흐른다.

 

미국 가곡의 특성과 Barber의 음악 언어

 

(1) 미국 가곡의 특징

 

20세기 미국 가곡은 유럽의 전통적인 리트(lied)와 달리, 민속적 요소와 재즈적 리듬, 그리고 보다 담백한 서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Barber의 작품은 단순한 민요 스타일이 아니라, 유럽적 기법(브람스, 슈트라우스 등)과 미국적 어법을 결합한 형태다. <Knoxville>는 이러한 Barber의 작풍이 잘 드러난다. 자유로운 리듬과 내레이션에 가까운 보컬 라인은 기존의 아리아적 형식과는 다른, 산문적 낭송과 선율의 경계에 있다. 이는 곡 전체에 미국적 서정성을 부여한다.

 

(2) Barber의 음악적 해석

 

음악적으로 <Knoxville>는 반복되는 오스티나토적 리듬과 유동적인 템포 변화로 시적인 분위기를 강화한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구절:

“It has become that time of evening when the people sit on their porches...”

이 부분은 아르페지오 패턴의 현악 반주 위에 긴 호흡으로 노래되며, 마치 청자가 어린 시절의 저녁 공기 속으로 스며드는 듯한 착각을 준다. Barber는 이를 통해 시간이 멈춘 듯한 명상적 상태를 표현한다.

 

 전문 성악가가 고려해야 할 가창 테크닉

<Knoxville>의 가창은 겉보기에 단순해 보이나, 실제로는 고도의 통제력과 음악적 직관이 필요하다.

 

(1) 긴 호흡과 레가토

많은 구절이 긴 문장으로 연결되어 있어, 성악가는 호흡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호흡 지점을 잘못 잡으면 문맥이 흐트러지고 음악적 긴장감도 무너진다. 이를테면:

“And they are not talking much and the talk is quiet and gentle...”

이 구절은 최소한 두 개의 큰 프레이즈로 나누어 숨을 보이지 않는 레가토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내러티브적 톤

이 곡은 리릭 소프라노에게 배정되었지만, 단순히 “노래하는 것” 이상의 내레이션적 톤을 요구한다. 즉, 말하듯이 노래하며 텍스트의 의미 전달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 청자가 마치 시인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듯한 자연스러움이 필요하다.

(3) 다이내믹 컨트롤

<Knoxville>에는 극적인 포르테(forte)가 거의 없고, 대부분 p(피아니시모)와 mp(메조피아노) 사이의 섬세한 다이내믹이 이어진다. 성악가는 이 미세한 다이내믹 차이를 세밀하게 조절하여 곡의 명상적 색채를 살려야 한다.

 

음악성과 감정 전달의 조화

전문 성악가가 <Knoxville>를 해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음악적 기술과 감정적 몰입의 균형이다. Barber의 선율은 단순하지만, 그 안에 슬픔과 평온, 회한과 사랑이 공존한다. 마지막 부분:

“By some chance, here they are, all on this earth; and who shall ever tell the sorrow of being on this earth...”

이 대목은 텍스트의 서정성과 존재론적 질문이 응축된 부분이다. 가창자는 단순한 발성이 아니라, 어린 시절의 추억을 회고하는 철학적 성찰을 담아야 한다.

 

결론

 

Samuel Barber의 <Knoxville: Summer of 1915>는 단순한 가곡이 아니라, 1910년대 미국 시골의 정서와 어린 시절의 기억을 심오하게 재현한 명작이다. 이 곡은 청자에게는 노스탤지어와 평화를, 성악가에게는 고도의 음악적 표현력을 요구한다. 미국 가곡 특유의 산문적 서정성과 섬세한 다이내믹을 고려해 해석할 때, 이 작품의 진면목이 드러난다. 텍스트 중심의 내러티브적 접근, 호흡과 레가토의 절묘한 조절, 그리고 감정 전달의 진정성은 이 곡의 해석에 있어 핵심이다. <Knoxville>는 단순히 과거를 그리워하는 노래가 아니라, 인생과 존재의 덧없음을 노래하는 현대적 레퀴엠처럼 들리기도 한다. 그래서 이 곡을 노래하는 것은 성악가에게도 음악적 여정이자 인간적 성찰의 과정이 된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