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페라 역사에서 ‘바지역’(pants role, trouser role)이 등장한 배경은 단순한 캐스팅의 편의가 아니라 음악적, 사회적, 그리고 성별 개념의 변화가 복합적으로 얽힌 결과다. 특히 17~18세기 유럽에서는 성악의 기술적 요구와 사회적 규범이 맞물리며, 특정 음역대의 남성 역할을 여성 성악가가 맡는 전통이 자리 잡았다. 옥타비안(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장미의 기사》), 케루비노(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오스카(베르디의 《가면무도회》) 같은 인물들이 여성 메조소프라노나 소프라노에 의해 연기되는 이유 역시 이러한 역사적 흐름과 깊은 관계가 있다. 바지역의 발생: 카스트라토의 쇠퇴와 여성 성악가의 부상 17~18세기 이탈리아 오페라의 황금기에는 고음역의 남성 성악가인 카스트라토(castr..

19세기 초 이탈리아 오페라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작곡가 빈첸초 벨리니(Vincenzo Bellini)는 “벨칸토(bel canto)” 양식을 정점으로 끌어올린 인물이다. 그의 오페라에서는 극적인 서사와 더불어 화려하고 유려한 선율이 어우러지는데, 이 가운데 멜리즈마(melisma)는 벨리니 음악의 핵심적 장치이다. 멜리즈마는 하나의 음절 위에 여러 개의 음을 부드럽게 이어서 노래하는 기교로, 단순한 장식음을 넘어 감정의 고조와 극적 긴장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벨리니 오페라에서 멜리즈마의 역할벨리니의 멜리즈마는 단순한 기교적 장식이 아니라 인물의 감정선과 밀접하게 연결된 서사적 장치이다. 예컨대 “노르마(Norma)”에서는 여주인공이 내면의 고뇌와 결단을 긴 호흡의 멜리즈마로 풀어낸다. 이 기교는 긴장감..